평택시민환경연대 성명서 발표…미디어파사드와 별도
금품수수·채용비리 연루 공무원…“업무배제 등 조치”
“시장, 무관용 원칙 일벌백계…공직기강 확립”촉구도
▲ 평택시민연대가 발표한 성명서 부분. 사진=평택저널 ⓒ평택저널
평택시가 수십 억 원을 들인 평택에코센터 미디어파사드가 가동 2년도 채 안 돼 중단된 것으로 확인(평택저널 8월1일자 보도)된 것과 관련 시민단체가 “감사실시와 책임자 문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7일 성명서를 내고 “32억여 원의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시설이지만 1년 이상 가동이 멈춘 상태로 시설정상화를 위한 대책도 미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평택시는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무용지물이 된 해당시설의 설치전반과 운영실태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정상 운영방안 수립과 책임자 문책”을 요구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성명서에서 최근 불거진 “평택시청 환경 관련 전·현직 부서 책임자들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서도 “실체적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평택시민환경연대는 2020년 평택에코센터 주민편익시설인 오썸플렉스 홍보팀 계약직 직원 채용 과정에서 관리감독 위치에 있는 평택시 공무원이 면접관으로 참여해 자신의 배우자를 직접 면접한 뒤 채용했다며 해당 A 공무원에 대해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 의혹도 제기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2020년 7월 개장을 앞두고 평택시는 계약직 직원 4명 채용에서 1차 서류를 통과한 25명 중 4명만 면접을 통해 합격했다”면서 “A 씨는 스스로 공정한 업무수행을 위해 기피했어야 하며 동료 공직자들은 A 씨를 부인 면접에서 제외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최근에 불거진 금품수수와 채용 비리 등이 벌어진 평택시 환경 관련 부서에 대한 심각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면서 “마땅히 평택시장은 비위행위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일벌백계로 공직기강 확립에 나서고 조직쇄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평택시는 사법처리 전이라도 당사자도 인정한 확인된 비리행위자 업무배제 등 인사조치, 철저한 감사를 통한 진상조사와 정보공개가 요구된다”면서 “경찰의 엄중한 조사와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박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