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닫기
뉴스
ㆍ경제
ㆍ사회
ㆍ뉴스
정치
ㆍ평택시의회
ㆍ경기도의회
ㆍ국회
ㆍ정치
평택시
문화
ㆍ공연
ㆍ전시
ㆍ문화
주민자치
ㆍ주민자치회/위원...
ㆍ읍면동
ㆍ시민단체
환경
평생학습
오피니언
ㆍ칼럼
ㆍ사설
ㆍ기고
ㆍ쑥고개
복지
동영상
커뮤니티
ㆍPDF 신문
ㆍ공지사항
ㆍ자유게시판
ㆍ설문조사

홍기원 의원, 경비원 대상 갑질 방지에 앞장

기사 등록 : 2023-05-15 11:45:00

박명호 samguri1@hanmail.net

  • 인쇄하기
  • 스크랩하기
  • 글씨 확대
  • 글씨 축소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 플러스로 공유 카카오스토리로 공유 네이버 블로그로 공유 네이버 밴드로 공유

직장 내 괴롭힘  대상  확대… 근로기준법개정안  대표 발의

간접고용 등 사각지대 근로자 보호 강화…"반복 비극 막아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홍기원 의원(더불어민주당, 평택갑·사진)의원은 경비원 대상 갑질 방지를 위한 근로기준법을 대표 발의했다고 12일 밝혔다.

 

개정안은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 주체를 확대해 간접고용 근로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앞서 2020년 아파트 입주민의 지속적인 폭언과 폭행을 견디지 못한 경비원이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경비원을 상대로 업무 외 지시를 금지하는 경비원 갑질 방지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올 3월에도 경비원이 관리소장의 갑질로 힘들다는 유서를 남긴 채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비원에 대한 입주민·관리소장의 갑질은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하지 않아 법적 책임을 지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경비원은 하청이나 외주를 통해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입주민과 관리소장은 근로계약서 상 사용자 혹은 상급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번 개정안은 근로 계약의 직접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업무 내용과 수행과정에 있어서 상당한 지휘·감독을 하는 경우 근로조건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지위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 또는 근로자로 간주하도록 했다.

 

또 직장 내 괴롭힘을 사용자에게 신고하도록 한 현행법에 더해 사용자가 괴롭힘의 행위자일 경우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신고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해 피해근로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홍기원 의원은 경비원 등 간접근로자의 근무환경까지 고려해 근로자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개정안을 통해 법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 반복되는 비극을 막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