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총파업 끝내면 정리해고 유보”… 노조 거부
쌍용자동차 노조가 쌍용차 회생방안으로 제시했던 모든 자구안을 폐기한다고 밝히고 총파업을 풀면 정리해고를 유보하겠다는 사측의 협상안에 대해서도 분명한 거부의사를 밝혔다. ★관련기사 4면
이에 따라 사업장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976명에 대한 법적 해고 효력이 발생, 공권력 투입 등 마찰이 우려되고 있다.
쌍용차노조는 8일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사측이 일방적인 정리해고를 강행하고 공권력 투입까지 요구하는 상황인 만큼 그동안 지부의 의견으로 제출된 1천억원 담보와 12억원의 기금출연 등 모든 자구안을 폐기한다”며 “정부는 즉각 공적자금을 투입해 공기업화하고 정리해고와 근로자들의 분사계획을 철회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노조는 “파업을 풀기 위해서는 정리해고 유예가 아닌 철회가 선행돼야 한다”며 “이미 1천700여명의 노동자들이 떠나버린 상황에서 회생을 위한 보증액과 비정규직 출연액의 산출근거 자체가 무너진 만큼 상하이 대주주권을 박탈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총고용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사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노동조합의 계속된 파업으로 4천600명의 직원은 물론 협력업체 등 20만여명의 생계가 파탄에 이르고 있다”며 “회사가 정상적인 라인운영 보장을 전제로 대화기간 중 정리해고를 유예하겠다고 했음에도 노동조합이 거부,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 976명에 대한 법적 해고 효력 발생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리해고자들은 사측이 지난달 8일 노동부에 정리해고 계획을 신고한 기간이 한달째로 접어 들면서 이날부터 해고자 신분이 됐으며 오는 10일로 예정된 3차 노사정 간담회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한편 이날 평택 공장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는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과 원유철 한나라당 경기도당위원장 등 여야 관계자들이 찾아와 노조 집행부와 면담을 갖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