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 등 지역경제 한축 국가차원서 대책 마련 필요”
LH “공장 이전 시급하다”
고덕신도시 건설과 관련 신풍제지 협력업체 및 직원들이 생계대책을 요구하며 이전 유예를 주장(본지 6월 28일자 14면)하는 가운데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 등도 동참하고 나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는 3일 “신풍제지 협력업체 등이 매월 50여억 원 이상을 지역에 사용하는 등 평택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이들 업체에 대한 생계 대책 마련과 공장 이전 유예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민사회단체는 “신풍제지 부지 일대가 공공주택이 들어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집값 하락 등 부동산 공황상태를 몰고 올수도 있는 아파트 건축을 위해 공장 이전을 서두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평택시민단체협의회 최종화 회장은 “미군기지 특별법에 따라 추진되는 국책사업으로 주민들의 평온한 삶이 깨진만큼 그 이상의 보상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협력업체 등도 시민인 만큼 관계기관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여성단체협의회 김민서 회장은 “평택지역 여건과 공장 직원들의 상황을 고려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평택YMCA의 소태영 사무총장은 “신풍제지는 그동안 평택시민 등을 위해 최근 10년 동안 고교생과 대학생에게 50억 원의 장학금 등을 지급하는 등 지역사회에 크게 기여해 왔다”며 “정부는 무조건적인 원칙보다는 국가적 차원의 이전 유예 대책 등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추진 중인 공사구역에 공공주택이 들어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평택 전역에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평택지역 부동산업체 관계자는 “현재 평택은 소사벌지구, 대규모 민간개발사업 등으로 공공주택 공급 물량이 넘치면서 마이너스 물량이 증가해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상황”이라며 “이런 가운데 공공주택 공급 물량마저 늘어나면 아파트 값 하락은 불보듯 뻔하다”고 공급 과잉을 우려했다.
이에 대해 LH는 “신풍제지가 포함된 공구의 대지조성 공사는 올해 초 착공했고 일부 토지는 이미 매각계약이 완료된 상태다”며 “공공주택용지 등의 미매각으로 막대한 손실이 발생해 고덕국제화계획지구 개발 자체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장 이전이 시급하다”고 밝혔다.